Quantcast
Channel: 향수병 환자의 보관소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646

전운이 고조되는 중동의 양대국

$
0
0

이란의 혁명, 정통주의 열풍은 이제 그 여파가 국내문제를 넘어 서서히 인근 중동권으로 확산되어가는 양상을 띠고있다. 전면전 직전까지  발전한  이란 ・이라크 양국간의 호르무즈 해협 도서(島嶼)를 둘러싼 국경분쟁은  자국내 친(親)이란파 세력을  규제하기  위한  이라크의 '경고사격' 의미가 큰 것 같다. 이같은 성격은 국경분쟁을  둘러싼  양국정상의  반응으로부터  대략  뒷받침된다.

이란 혁명정부의  최고지도자  호메이니옹과  고트브자데 외상은 지난 4월 9일, '이라크의 바트당 정권을 전복'시키겠노라 선언하면서 후세인 이라크 대통령을 '무슬림의 공적(公敵)'으로 규정지었다. 이에 맞서 후세인도  자국에 거주하는 시아파가  테헤란의 '반동세력'과 야합, 국내소요를 조장해 국가전복 음모를 획책중이라며 응수했다. 쌍방의 비난내용은 이라크 정권과 관계되었다는 점이 공통점이다.

거기에서 이번 사건은  단순  국경분쟁  이전에 '회교공화국'을 수립한  호메이니 세력이  그  여세를 몰아 이라크로의 혁명수출을  위해  친이란계 시아파들을  배후에 부추긴데서 비롯되었을지 모른다는 추측이 나옴직하다. 후세인 정권은 회교다수파인 수니파지만, 인구의 절반가량이 시아파. 더군다나, 이란혁명을 계기로 페르시아만 연안제국에선 호메이니 추종 시아파들의 준동이 거세지고 있다.

양국간 국경분쟁에 쿠웨이트가  이라크를 지지하고  나선것도 페르시아만 연안 아랍제국이 이란혁명의 전염 '바이러스'를  얼마나 우려하고 있는가를  입증해주는 대목이다. 주자하다시피, 이라크는 테헤란의 획책을 저지할 수단으로 호르무즈 해협의  3개도서 반환을 핑계삼아 무력충돌을 도발했다. 이것은 국내 반정세력의 책동을 적발, 강경자세로 타결책들을 모색하려는 후세인의 속셈일지도 모른다.

앞서  2만여명의  이란인이 이라크로부터 추방되었다는 보도가  나온  마당에 지난달, 양국은 상호대사의 소환령을 내렸으며, 이라크군이  나프테샤르  유전을  기습한  직후  양측에서 전군(全軍) 비상경계태세를 발동시켰다는 후문이다. 이로써, 국교단절과 더불어 장차 전면전의 가능성이 짙어졌다. 페르시아만에서 때아닌 전운(戰雲)이 고조되는 가운데, 국제석유시장에  미칠  여파가 관심사다.




tag :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646

Trending Articles



<script src="https://jsc.adskeeper.com/r/s/rssing.com.1596347.js" async> </scrip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