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ntcast
Channel: 향수병 환자의 보관소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646

레이시즘이 트렌드였다지만, 우리가 일본을 좀 자극시키긴 했었지

$
0
0







내가 생각하기에 일본의 정책은 미국인이나 유럽인과는 최대한 어느 정도 거리를 두는 것이어야 합니다. 더 강력한 인종이 존재하고 있는 가운데 귀국은 만성적으로 위험스런 처지에 놓여 있으므로 가급적 외국인의 근거지가 되지 않도록 각별히 모든 예방적 조치를 취해야 할 것입니다. 내가 보기에 일본이 유리한 입장에서 허락할 만한 유일한 교섭 형태는 필수적인 상품 교역과 사상의 교환, 즉 신체적이고 정신적인 산물의 수출입에 관한 부문입니다. 다른 인종의 사람들, 특히 더 강력한 인종의 사람들에게 더 이상의 특권이 허용되는 것은 불가하며, 이는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는데 절대적으로 필요합니다. 듣자 하니 귀국에선 유럽과 미국을 상대로 '제국(帝國, 日本) 전체를 외국인과 외국 자본에 개방'하겠다며 조약의 개정을 제안했던 모양인데, 나는 이것을 치명적인 정책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렇게 해서 어떤 사태가 발생할 지 보고 싶다면 인도의 역사를 공부하길 바랍니다. 일단 더 강력한 인종들 가운데 하나가 특정 근거지를 획득한다면, 그리고 시간이 지나면 필연적으로 일본인과 충돌을 일으키는 공격적인 정책이 유발될 것입니다... 영토 내에서 외국인의 자산 소유를 금지시킬 뿐만 아니라, 그들에게 임차권도 주지 말아야 하고, 연간 계약으로 주거 임대만 허락해야 할 것입니다... 외국인과 일본인의 잡혼은 확실히 금지되어야 합니다. 그것은 본질적으로 사회 철학이 아닌 생물학의 문제입니다. 다른 종(種)끼리 일정한 수준을 조금 넘어서 섞이거나 갈라져 나오면, 인류 종족간 결혼과 동물의 상호 교배에서 관찰된 바와 같이 그러한 결과가 필경 고약해진다는 많은 증거가 있습니다... 어느 경우에나 이민이 많아지면 엄청난 사회적 피해가 발생할 것이며, 사회는 해체되고 말 것입니다.

- by 1892년 여름 가네코 겐타로(金子堅太郎)에게 인종간 순혈 보전의 필요성을 역설한 허버트 스펜서



캘리포니아에서 금(金)이 발견된 직후 이 나라에 20만명의 중국인이 입국하고 나서 단지 우리의 국내 노동 시장을 보호하기 위해 중국인들을 배척하기로 결정했다고 주장할 수 있더라도, 나는 아시아계 주민들의 입국을 대규모로 금지시켰던 후속 입법이 가깝고도 먼 이웃들과의 관계를 관리하는 위대한 기술에 있어서 우리의 정치적 미숙함을 입증했다고 믿습니다. 일본이 우리 편에서 싸웠던 전쟁[1차대전] 후인 1924년에 제정된 일본인 배척 조항도 그러한 사례입니다. 그것은 명백한 실수였고, 우리의 국제 관계상 관점에서 볼 때 심각한 문제였으며, 미국에서 그 시절에 만연하던 불행한 일반적인 경향과 사고, 이러한 사고 방식, 그리고 행동에서 기인한 것으로 여러분도 잘 아시다시피 이것은 고립주의입니다. 1924년 배척법이 의회를 통과했을 무렵 미국에선 고립주의가 팽배하고 있었습니다.

그때 우리는 우드로 윌슨의 개명된 임무를 모두 부정했고, 국제 연맹으로부터 등을 돌렸습니다. 또한 우리는 금세기 이전부터 우리 편으로 남아 있었던 그 나라를 계속 붙잡아 두기보단, 우리의 잠재적인 적들의 진영으로 몰아넣는데 사실상 일본의 국수주의 광신도들을 돕기로 결정했던 셈입니다. 1924년 동양인 배척법의 통과가 미국과의 우정에 기반을 둔 일본의 자유주의 정치인들의 입장을 약화시켰음은 의심할 여지가 없습니다. 나는 이 사실에 대한 확실한 근거를 가지고 있습니다. 2차대전 직전 일본에서 대사로 10년을 보냈으며, 가장 예리한 동양 관계의 관찰자로 우리 모두가 인정하고 있는 조셉 C. 그루씨는 1924년 법안의 통과가 일본에 있는 우리의 친구들을 약화시키고, 그 어떤 행동보다도 극단주의자들을 강화시키는데 커다란 역할을 했음을 앞서 미일관계 관련 위원회에서 증언했습니다.

그루 대사는 1924년 2월, 일본 국회 토론에서 우리의 위대한 친구 사카타니(阪谷) 남작이 한 말을 상기시켰습니다. '만약 미국에 의해 이 법안이 성립되면, 그것은 중대한 결과를 초래할 것이다. 나는 이 문제로 제국이 미국과 전쟁을 벌일 것이라고 말하려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내가 말하고자 하는 점은 만약 일본인들이 미국에 의해 열등 민족으로 분류된다면, 그 행동은 9개국 조약을 지지하는 다른 서명국과 협력하고, 중국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조약의 형식과 내용을 준수하려는 일본인들의 열망을 심각하게 파괴할 것이다. 그 끝이 어디인지는 아무도 예측할 수 없다.' 사실 시데하라() 남작은 일본을 4년이나 더 지켜냈지만, 다나카(田中) 남작이 수상에 취임한 1928년에 9개국 조약은 문서 보관소로 밀려났고, 1932년까지 호전적인 군국주의 집단이 말 안장 위에 확고하게 자리잡았던 것입니다.

1년 후인 1933년, 프랭클린 델러노 루스벨트의 리더십이 고립주의라는 낡은 기록을 버리고, 미국을 위해 새롭고도 보다 현실적인 현대사를 쓰기를 갈망한 다수의 사람들을 워싱턴으로 불러들였습니다. 하지만, 당시에 우리는 국내 문제를 처리하느라 매우 분주했으며, 그것은 분명 사소한 것이 아니었습니다. 신임 대통령의 계몽적 리더십 하에서 발전되어 우리의 이민과 국적 정책을 새로운 사고 방식으로 조정하는 것에 대해 고려하기 시작했을 무렵 일본군은 우리의 오랜 우방국인 중국을 침략하고, 황폐화시키는데 여념이 없었습니다. 게다가 일본은 히틀러 및 무솔리니와 공동의 대의를 이루고자 노력했음이 분명했고... 국제 연맹을 버리기로 한 일본의 결정과 베를린 ・로마 ・동경간의 유대가 강화된 것은 확실히 우리의 이민과 국적법에서 반(反) 동양적 제한을 철폐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았습니다.

- by 1953년 1월 19일, '국적 기원' 이민법이 전간기 미일관계에 미친 악영향을 연방 의회에서 지적 ・성토하며 
                                                                                  루이스 E. 그래험(Louis E. Graham) 하원의원




tag :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646

Trending Articles



<script src="https://jsc.adskeeper.com/r/s/rssing.com.1596347.js" async> </script>